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49. 물고기(魚)

반응형

50대 중년 아빠인 필자는 음식을 잘 가리지 않고 잘 먹는데 생선도 좋아한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선을 아주 좋아하셨으니 유전적으로도 생선을 싫어할리는 없을것같다.

물고기는 음식으로도 아주 좋지만 아이들 어렸을때처럼 집에 수족관을 두고 관상어로 키우기도 하고 바다나 강에 나가면 물고기가 튀어오르거나 헤엄치는 모습을 보면 한가롭게 보이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물고기에 관한 사자성어를 알아보자.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 물고기

 

241. 득어망전(得魚忘筌) : 얻을 득, 물고기 어, 잊을 망, 통발 전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을 잊는다.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썼던 사물이나 은덕을 잊어버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의 외물편에 나오는 말로 장자가 말하기를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잊어버리고, 토끼를 잡고 나면 올가미는 잊어버린다.   말이란 마음 속의 뜻을 전달하기 위한 것인데, 뜻을 전달하고 나면 말은 잊어버린다.'라고 하였다.

242. 상산구어(上山求魚) : 윗 상, 뫼 산, 구할 구, 물고기 어

   산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찾는다).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원래 구절은 상산이구어(上山而求魚)이며 제나라 선왕때의 이야기로 맹자와 선왕이 얘기를 나누는 중 맹자가 '왜 전쟁으로 군사와 백성을 잃고 이웃 나라와 원수가 되기를 원하십니까?'라고 하자 선왕이 '큰 뜻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쩔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하자 맹자가 '오랑캐를 무력으로 복종시키고자 하는 것은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려는 것과 같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은 물고기를 구하지 못한다 해도 아무런 피해가 없겠지만 천하를 무력으로 얻고자 하는 것은 잘못하면 백성을 잃고 나라도 망할 수 있다'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243. 어부지리(漁夫之利) : 고기잡을 어, 지아비 부, 갈(어조사) 지, 이로울 리

   어부가 이득을 취하다.

   두 사람이나 권력 사이의 이해관계를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이익을 가로채는 것을 일는 말이다.

   중국의 전국책에 나오는 고사로 민물조개가 강변에서 햇빛을 쬐고 있는데 도요새가 조개를 부리로 쪼아 먹으려고 하자 둘이 실랑이를 벌이며 서로 죽기살기로 버티는 것을 지나가던 어부가 보고 도요새와 민물새우를 모두 잡아갔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소대라는 인물이 조나라의 혜문왕에게 연나라의 공격을 중지하고 화친을 맺어야 강성한 진나라에 맞설수 있다고 설득하면서 이 이야기를 인용한데서 비롯하였다.

244. 지천사어(指天射魚) : 가리킬 지, 하늘 천, 쏠 사, 물고기 어

   하늘을 보고 물고기를 쏜다.

   사물을 구하는 방법이 그릇됨을 이르는 말이다.

245. 어두일미(魚頭一味) : 물고기 어, 머리 두, 한 일, 맛 미

   물고기는 대가리 쪽이 제일 맛있다.

   어두육미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대가리가 크고 맛있는 도미에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고사성어 (주제별)

 

겨울
1. 엄동설한(嚴冬雪寒)
2. 낙목한천(落木寒天)
3. 삼한사온(三寒四溫)
4. 설상가상(雪上加霜)
5. 동장군(冬將軍)
눈(雪,目/眼)
6. 형설지공(螢雪之功)
7. 괄목상대(刮目相對)
8. 안하무인(眼下無人)
9. 목불인견(目不忍見)
10. 이목구비(耳目口鼻)
새해
11. 송구영신(送舊迎新)
12. 근하신년(謹賀新年)
13. 만사형통(萬事亨通)
14.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15. 화양연화(花樣年華)
나무
16. 연목구어(緣木求魚)
17. 풍수지탄(風樹之嘆)
18. 상전벽해(桑田碧海)
19. 세한삼우(歲寒三友)
20. 초근목피(草根木皮)
대나무
21. 우후죽순(雨後竹筍)
22. 파죽지세(破竹之勢)
23. 죽마고우(竹馬故友)
24. 매란국죽(梅蘭菊竹)
25. 송죽지절(松竹之節)

26. 타산지석(他山之石)
27. 하석상대(下石上臺)
28. 일석이조(一石二鳥).
29. 전광석화(電光石火)
30. 중석몰촉(中石沒鏃)

31. 궁서설묘(窮鼠齧猫)
32. 묘항현령(猫項懸鈴)
33. 묘서동처(猫鼠同處)
34.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35. 이속우원(耳屬于垣)

36. 우이독경(牛耳讀經)
37. 교각살우(矯角殺牛)
38. 호시우보(虎視牛步)
39. 우보만리(牛步萬里)
40. 우생마사(牛生馬死)
호랑이 #1
41. 호가호위(狐假虎威)
42. 삼인성호(三人成虎)
43. 용호상박(龍虎相搏)
44. 호부견자(虎父犬子)
45. 호사유피(虎死留皮)
토끼
46. 토사구팽(兎死狗烹)
47. 교토삼굴(狡兎三窟)
48. 수주대토(守株待兎)
49. 호사토읍(狐死兎泣)
50. 견토방구(見兎放狗)
호랑이 #2
51. 호시탐탐(虎視眈眈)
52.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53. 호미난방(虎尾難放)
54. 산중호걸(山中豪傑)
55. 기호지세(騎虎之勢)
올해의 사자성어 #1
56. 과이불개(過而不改)
57. 오리무중(五里霧中)
58. 이합집산(離合集㪚)
59. 우왕좌왕(右往左往)
60. 당동벌이(黨同伐異)

61. 와룡봉추(臥龍鳳雛)
62. 화룡점정(畵龍點睛)
63. 어룡장화(魚龍將化)
64. 등용문(登龍門)
65. 화룡유구(畵龍類狗)

66. 용두사미(龍頭蛇尾)
67. 화사첨족(畵蛇添足)
68. 장사진(長蛇陣)
69. 사심불구(蛇心佛口)
70. 타초경사(打草驚蛇)
올해의 사자성어 #2
71. 상화하택(上火下澤)
72. 밀운불우(密雲不雨)
73. 자기기인(自欺欺人)
74. 호질기의(護疾忌醫)
75. 방기곡경(旁岐曲逕)

말 #1

76. 대마불사(大馬不死)

77. 마이동풍(馬耳東風)

78. 새옹지마(塞翁之馬)

79. 읍참마속(泣斬馬謖)

80. 주마가편(走馬加鞭)

말 #2

81. 주마간산(走馬看山)

82. 지록위마(指鹿爲馬)

83. 천고마비(天高馬肥)

84. 천군만마(千軍萬馬)

85. 필마단기(匹馬單騎)

말(言)

86. 감언이설(甘言利說)

87. 교언영색(巧言令色)

88. 거두절미(去頭截尾)

89. 촌철살인(寸鐵殺人)

90. 언중유골(言中有骨)

올해의 사자성어 #3

91. 장두노미(藏頭露尾)

92. 엄이도종(掩耳盜鐘)

93. 거세개탁(擧世皆濁)

94. 도행역시(倒行逆施)

95. 혼용무도(昏庸無道)

숫자 (1, 2) #1

96. 군계일학(群鷄一鶴)

97.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98. 일거양득(一擧兩得)

99. 일사천리(一瀉千里)

100. 일편단심(一片丹心)

올해의 사자성어 #4

101. 군주민수(君舟民水)

102. 파사헌정(破邪顯正)

103. 임중도원(任重道遠)

104. 공명지조(共命之鳥)

105. 아시타비(我是他非)

106. 묘서동처(猫鼠同處)

숫자 (1, 2) #2

107. 일확천금(一攫千金)

108. 일희일비(一喜一悲)

109. 유일무이(唯一無二)

110. 이팔청춘(二八靑春)

111. 일구이언(一口二言)

양, 원숭이

112. 양장소경(羊腸小徑)

113. 희생양(犧牲羊)

114. 다기망양(多岐亡羊)

115. 견원지간(犬猿之間)

116. 단장지애(斷腸之哀)

숫자 3

117. 삼고초려(三顧草廬)

118. 삼삼오오(三三五五)

119. 작심삼일(作心三日)

120. 장삼이사(張三李四)

121. 조삼모사(朝三暮四)

숫자 4

122. 사고무친(四顧無親)

123. 사면초가(四面楚歌)

124. 사방팔방(四方八方)

125. 사통팔달(四通八達)

126. 군계일학(群鷄一鶴)

127. 줄탁동시(啐啄同時)

128. 계란유골(鷄卵有骨)

129. 계륵(鷄肋)

130. 누란지위(累卵之危)

숫자 5~9

131. 오리무중(五里霧中)

132. 육십갑자(六十甲子)

133. 칠전팔기(七顚八起)

134. 칠거지악(七去之惡)

135. 구사일생(九死一生)

136. 토사구팽(兎死狗烹)

137. 이전투구(泥田鬪狗)

138. 견토지쟁(犬兔之爭)

139. 양두구육(羊頭狗肉)

140. 견마지로(犬馬之勞)

숫자 10~

141. 십시일반(十匙一飯)

142. 십중팔구(十中八九)

143.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144.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145. 백발백중(百發百中)

돼지

146. 저돌(猪突)

147. 불안돈목(佛眼豚目)

148. 관저복통(官猪腹痛)

149. 돈견(豚犬)

150. 돈제일주(豚蹄一酒)

151. 등고자비(登高自卑)

152. 태산북두(泰山北斗)

153. 산해진미(山海珍味)

154. 우공이산(愚公移山)

155. 인산인해(人山人海)

바다(海)

156. 창해일속(滄海一粟)

157. 만경창파(萬傾蒼波)

158. 요산요수(樂山樂水)

159. 인해전술(人海戰術)

160. 망망대해(茫茫大海)

음식

161. 금의옥식(錦衣玉食)

162. 초근목피(草根木皮)

163. 문전걸식(門前乞食)

164. 진수성찬(珍羞盛饌)

165. 단사표음(簞食瓢飮)

날씨

166.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167. 하로동선(夏爐冬扇)

168. 추풍낙엽(秋風落葉)

169. 만산홍엽(滿山紅葉)

170. 평지풍파(平地風波)

171. 낙화유수(落花流水)

172. 일장춘몽(一場春夢)

173. 사춘기(思春期)

174. 사시장춘(四時長春)

175. 구각춘풍(口角春風)

해와 달

176. 일취월장(日就月將)

177. 건양다경(建陽多慶)

178. 월영즉식(月盈則食)

179. 음풍농월(吟風弄月)

180. 월하노인(月下老人)

여름

181. 녹음방초(綠陰芳草)

182. 동온하정(冬溫夏凊)

183. 이열치열(以熱治熱)

184. 하선동력(夏扇冬曆)

185. 하충어빙(夏蟲語氷)

가을

186. 등화가친(燈火可親)

187. 만추가경(晩秋佳景)

188. 일엽지추(一葉知秋)

189. 추월한강(秋月寒江)

190. 추풍과이(秋風過耳)

191. 금석맹약(金石盟約)

192. 금석지교(金石之交)

193. 견금여석(見金如石)

194.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195. 천금일소(千金一笑)

196. 금의환향(錦衣還鄕)

197. 녹의홍상(綠衣紅裳) 

198. 백의종군(白衣從軍) 

199. 하갈동구(夏葛冬裘) 

200. 호의호식(好衣好食)

시간과 세월

201. 광음여시(光陰如矢)

202. 독서삼여(讀書三餘)

203. 맥수지탄(麥秀之嘆)

204. 차일피일(此日彼日)

205. 촌음시경(寸陰是競)

사랑

206. 비익조(比翼鳥)

207. 운우지정(雲雨之情)

208. 오매불망(寤寐不忘)

209. 연리지(連理枝)

210. 지고지순(至高至純)

우정

211. 문경지교(刎頸之交)

212. 붕우유신(朋友有信)

213. 수어지교(水魚之交)

214. 지음(知音)

215. 호형호제(呼兄呼弟)

부부

216. 백년가약(百年佳約)

217. 백년해로(百年偕老)

218. 부창부수(夫唱婦隨) 

219. 조강지처(糟糠之妻)

220. 천생연분(天生緣分)

신체부위

221. 간담상조(肝膽相照)

222. 구상유취(口尙乳臭)

223. 구설수(口舌數)

224. 경국지색(傾國之色)

225. 오장육부(五腸六腑)

부모님과 효도

226. 노래지희(老萊之戱)

227. 반포지효(反哺之孝)

228. 사친이효(事親以孝)

229. 자욕양친부대(子欲養親不待)

230. 혼정신성(昏定晨省)

고향

231. 가서만금(家書萬金)

232. 망운지정(望雲之情)

233. 백운고비(白雲孤飛)

234. 병주고향(竝州故鄕)

235. 수구초심(首丘初心)

자식

236. 금지옥엽(金枝玉葉)

237. 부자유친(父子有親)

238. 엄부자모(嚴父慈母)

239. 의문지망(倚門之望)

240. 절발역주(截髮易酒)

물고기

241. 득어망전(得魚忘筌)

242. 상산구어(上山求魚)

243. 어부지리(漁夫之利)

244. 지천사어(指天射魚)

245. 어두일미(魚頭一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