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50대 중년 아빠의 궁금증, 나이별 별칭

반응형

50대 중년 아빠인 필자는 닉에서 알수 있듯이 50대이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서 선배들이 했던 얘기대로

시간의 흐름 즉, 나이를 먹는 속도가 비례해서 빨라진다는 것을 느낀다.

반응형

 

나이를 먹으면서 건강이나 체력이야 더 좋아지기 어렵겠지만

다른 무언가가 더 성숙해지고 무르익은 사람으로 거듭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해가 뜨면 또 하루가 시작된다

 

한자 문화권이었던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나이별로 의미를 두어 부르는 별칭(別稱)이 있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캐치프레이즈도 있지만

나이를 단순한 숫자로 치부하지 않고

그 나이에 걸맞는 역할이나 마음가짐을 나타내는

말들이므로 한번쯤은 새겨볼 만 할것같다.

 

옥으로 만든 꽃. 이 꽃은 나이를 먹지 않을것같다.

 

나이별로 그 별칭을 알아보면

 

2~3: 해제(孩提) 어린아이를 말한다.

15: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둔다.

16: 과년(瓜年) 혼기가 꽉찬 나이(여성). + = 16 의 의미의 파자이다.

흔히 이팔청춘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20: 약관(弱冠) 관례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

방년(芳年) 꽃다운 나이(여성)

30: 이립(而立) 가정과 사회에 기반을 닦는다

40: 불혹(不惑)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다

50: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안다. 공자가 50세에는 하늘의 뜻(天命),

, 인생의 의미를 알았다고 한데서 유래된 말이다.

60: 이순(耳順) 귀가 순해진다. , 사려와 판단이 성숙해진다.

논어에 나오는 말이며, 공자가 60세가 되어 어떤 말도 순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는데서 유래했다.

61: 환갑(還甲) / 회갑(回甲) 갑자가 한번 돌아왔다.(60년이 지났다)

62: 진갑(進甲) 회갑 다음해 나이, 62세가 되는 해의 생일

70: 고희(古稀) 예로부터 드물다. 두보의 시에 나온 구절 중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되었다.

71: 망팔(望八) 팔십을 바라본다.

77: 희수(喜壽) 오래 살아 기쁘다. ()의 약자가 한자 칠()로 이루어져

77세를 뜻함

80: 산수(傘壽) 산의 한자인 을 파자로 풀면 ()()”이 된다.

88: 미수(米壽) 여든여덟 살의 생일. 한자 미() 자를 八十八의 파자로

풀어서 나타낸 말이다.

99: 백수(白壽) 일백 백 (100)에서 하나()를 빼면 99, 자가 된다.

100: 상수(上壽) 최상의 수명을 의미한다.

 

올해(2023) 6월부터 모든 나이를 만 나이로 표시한다고 한다.

하지만, 위에 써놓은 나이는 한국식 나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니

참고해서 보시기 바란다.

 

 

약관, 불혹, 환갑 등 지금도 많이 쓰는 말도 있고 그렇지 않은 말도 있지만

인생의 행로에서 나이별로 의미를 가지고

언제나 열심히 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