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중년 아빠인 필자는 서울이 고향은 아니지만
20년 넘게 서울에서 살면서 한강을 가로지르는
여러개의 다리를 지나치고 한다.
한강에는 과연 몇개의 다리가 있을까?
누구나 한강 다리를 생각하면 제일 먼저 하는 질문이다.
답부터 얘기하면 2023년 4월 18일 현재는 33개이다.
최초의 근대식 한강 다리인 한강철교(1900년 준공)를 시작으로
2021년 개통한 월드컵대교까지 33개의 다리가 있고
올해 개통 예정인 가칭 고덕대교(명칭 미정)까지 개통되면
34개의 다리가 있는 것이다.
한강다리를 서쪽부터 순서대로 알아보면
1. 일산대교 2. 김포대교 3. 신행주대교 4. 방화대교 5. 마곡철교
6. 가양대교 7. 월드컵대교 8. 성산대교 9. 양화대교 10. 당산철교
11. 서강대교 12. 마포대교 13. 원효대교 14. 한강철교 15. 노량대교
16. 한강대교 17. 동작대교 18. 반포대교 19. 잠수교 20. 한남대교
21. 동호대교 22. 성수대교 23. 영동대교 24. 청담대교 25. 잠실대교
26. 잠실철교 27. 올림픽대교 28. 천호대교 29. 광진교 30. 구리암사대교
31. (고덕대교) 32. 강동대교 33. 미사대교 34. 팔당대교
(한강에 있는 다리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서울권역에 있는 다리 숫자와는 다를수 있다)
이렇게 34개의 다리가 순서대로 있다.
그런데, 주의깊게 보다보면 뭔가 좀 이상하지 않은가?
34개의 다리 중에 지하철이 지나가는 철교야 당연히 다르게 부르지만
대부분의 다리들이 "~~대교"라고 부르는데,
단 두개 "잠수교"와 "광진교"만은 짧게 부르고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어떤 기준으로 어느 다리는 "~~대교"라고 부르고 어떤 다리는
그냥 "~~교"라고 부를까?
직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기준은
1. 다리의 길이
2. 교량 개통(완공) 시기
3. 다리의 넓이
정도일 것이다.
우선 다리 길이만 생각하면, 잠수교는 반포대교의 부속 다리로 취급되니
그럴 수 있지만 광진교(1056m)는 한남대교(919m)보다 길기때문에
이것은 합당한 기준은 아닌 것같다.
다리의 개통시기는 중구난방이고
최초로 개통된 한강철교, 두번째인 한강대교(1917년)와 세번째로 개통된
광진교(1936년), 마지막으로 개통된 월드컵대교까지 이또한 기준은
아닌 것같다.
다리의 넓이(차선수)는 어떨까?
한강의 다리중에 철교를 제외하면
잠수교와 광진교만이 왕복 2차선의 차도를 사용하고 있다.
광진교는 폭이 20m로 한강 다리 중에 폭이 가장 좁고
왕복 4차선인데, 인접한 곳에 천호대교가 놓인 이후에
차량 왕복은 가운데 2차선만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2차선은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조성됐다.
이것은 나름 합리적인 기준일수 있을 것같은데,
다리의 명칭을 정하는 국가지명위원회 등의 공식적인 기준은 공표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있다.
광진교는 일제 강점기 지어졌을 때부터 광진교라고 주욱 불렸기에
현재의 다리도 광진교라고 부른다는 것이 정설이다.
같은 일제 강점기에 개통된 한강대교의 명칭 변천사를 보면
한강대교는 기차가 다니는 한강철교와 구분하여
처음엔 한강인도교로 불렸고 해방 후에는 제1 한강교로 불렸고
1984년 한강대교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때 광진교도 광진대교로 명칭이 변경될 수 있었는데
바뀌지 않고 광진교란 이름으로 남게 됐다.
오늘은 한강의 다리 현황과 다리 명칭을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서울의 홍수 기준이 되는 한강의
다리는 어떤 다리의 어느 정도 높이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강의 홍수 기준은 무엇일까? (0) | 2023.04.22 |
---|---|
24절기 중 여섯번째 곡우, 의미와 풍속 (0) | 2023.04.20 |
50대 중년 아빠의 궁금증, 여의도 면적은 도대체 얼마나 큰 것인가? (0) | 2023.04.13 |
명예퇴직금은 세금을 얼마나 내지? (0) | 2023.03.22 |
전기기사 vs 주택관리사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