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62)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9. 금(金) 사람들은 누구나 돈을 좋아하고 금을 좋아한다. 어떤 시대에는 화폐로 사용되었고 지금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상징하기 때문일것이다. 필자도 금을 좋아하지만 아이들 돌반지 이외에는 많이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 이번 글에서는 금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알아보자. 191. 금석맹약(金石盟約) : 쇠 금, 돌 석, 맹세할 맹, 약속 약 쇠와 돌처럼 결코 변하지 않는 약속. '우리의 우정은 금석맹약과도 같아 어떤 어려움에도 흔들리지 않는다.'와 같이 쓰인다. 192. 금석지교(金石之交) : 쇠 금, 돌 석, 갈(어조사) 지, 사귈 교 금석처럼 굳은 교분. 굳고 변하지 않는 우정을 말한다. 금란지교, 관표지교 등과 같은 말이다. 193. 견금여석(見金如石) : 볼 견, 쇠 금, 같을 여, 돌 석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7. 여름(夏) 아직은 늦은 겨울이지만, 조금만 지나면 세월은 흘러 봄이 지나고 여름이 될 것이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여름은 더워서 힘들기도 하지만, 숲이 우거지고 풀향기가 가득한 계절이다. 이번 글에서는 여름과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자. 181. 녹음방초(綠陰芳草) : 푸를 녹, 그늘 음, 꽃다울 방, 풀 초 우거진 나무그늘과 싱그러운 풀. 숲이 우거지고 풀 향기가 가득한 여름을 가리킨다. 182. 동온하정(冬溫夏凊) : 겨울 동, 따뜻할 온, 여름 하, 서늘할 정(청) 겨울은 따뜻하게 여름은 서늘하게. 자식들이 부모님을 정성껏 섬기어 효도함을 이른다. 중국의 책인 예기(禮記) 곡례편의 '무릇 사람의 자식이 되어 부모를 섬기는 예는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린다. 밤에는 자리..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6. 해(日)와 달(月) 1년 365일 언제나 해와 달은 뜨고 지고, 인간은 해와 달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더군다나 농업을 기반으로 했던 옛날에는 그 영향이 더 컸을 것이다. 오늘은 해와 달에 대한 사자성어를 알아보자. 176. 일취월장(日就月將) : 날 일, 나아갈 취, 달 월, 장수 장 날마다 성장하고 달마다 발전한다는 뜻으로 학업이나 실력이 날이 갈수록 진보를 이름을 뜻한다. 중국 주나라 성왕에게 신하들이 게을러지면 안된다는 경계의 말을 올리자, 성왕이 '나날이 나아가고 다달이 발전하니 배움이 광명에 이르리라'는 시경의 구절을 인용한 말이다. 177. 건양다경(建陽多慶) : 건강할 건, 볕 양, 많을 다, 경사 경 맑은 날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다는 뜻으로 24절기 중 첫번째인 첫번째 절기인 입춘에 쓰이는 대표적인 글..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5. 봄(春) 새해가 시작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내일모레가 대한이고 그 다음 절기가 입춘이다. 날씨는 아직 쌀쌀하지만 봄이 머지않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추운 겨울을 벗어나 만물이 소생하는 봄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알아보자. 171. 낙화유수(落花流水) : 떨어질 낙, 꽃 화, 흐를 유(류), 물 수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봄의 경치를 나타낸다. 때로는 힘과 세력이 약해지는 상황이나 남녀간의 서로 그리워하는 정을 뜻하기도 한다. 중국 당나라 시인 고변의 시에 나오는 '떨어지는 꽃이 강물 위로 흐르는데서 넓은 세상을 알았다'라는 문구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172. 일장춘몽(一場春夢) : 한 일, 마당 장, 봄 춘, 꿈 몽 한바탕 봄 꿈처럼 헛되고 덧없는 일을 나타낸다. 인생의 허무함을 비유..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4. 날씨 인간은 언제나 날씨의 영향을 받고 있다. 인간이 지구에 존재하는 한 변하지 않겠지만, 지금에 비해서 농업이 생활의 위주였던 옛날에는 더 많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런 만큼 날씨와 관련된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도 많다. 166.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봄 춘, 올 래, 아닐 불(부), 같을 사, 봄 춘 봄은 왔지만 봄 같지가 않다는 뜻으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거나 주변 분위기와 달리 편안치 않음을 나타낸다. 중국 전한시대 원제의 후궁이었던 왕소군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는데, 원제가 자신의 후궁인 왕소군을 오랑캐에게 보내고 난 이후에 이를 후회하면서 계절은 봄이 왔지만 마음은 봄 같지 않다는 의미로 표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 서울의 봄 시절에 김종필이 정국이 돌아가는 것을 보고 '춘..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3. 음식 우리가 항상 먹는 음식과 관련된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도 많다. 옛 성인들의 말이나 고사에 나온 말들은 대개 너무 화려한 음식을 지양하고 분수에 맞는 음식을 추구하라는 교훈이 많이 있고 간혹은 아주 화려하거나 푸짐한 음식을 표현하기도 했다. 161. 금의옥식(錦衣玉食) : 비단 금, 옷 의, 구슬 옥, 밥 식 비단 옷과 흰 쌀밥이라는 뜻으로 사치스럽고 호사스러운 생활을 뜻한다. 중국의 육조시대 유명한 시인인 새시의 작품에서 유래되었다. 162. 초근목피(草根木皮) : 풀 초, 뿌리 근, 나무 목, 가죽 피 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가가 하나도 없지만 다른 음식이 없어 어쩔수 없이 먹는 음식을 뜻한다. 중국의 수서(隋書)의 순리편에 나오는 유광이라는 관리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유광은 지방관..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2. 바다(海) 156. 창해일속(滄海一粟) : 푸를 창, 바다 해, 한 일, 조 속 넓고 푸른 바다에 한 알의 좁쌀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거나 넓은 것 중에 아주 작고 하찮은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중국 시인 소동파가 적벽부에서 처음 사용하였다고 알려진다. 157. 만경창파(萬傾蒼波) : 일만 만, 기울어질 경, 푸를 창, 파도 파 한없이 넓고 푸른 바다를 뜻한다. 조선시대 실학자 박지원의 열하일기의 한 구절에 나오는 표현이다. 158. 요산요수(樂山樂水) : 즐거울(좋아할) 요, 뫼 산, 즐거울 요, 물 수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산수를 즐기며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이다. 논어의 옹야편에 수록되어 있는 말로,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움직이고..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31. 산(山) 151. 등고자비(登高自卑) : 오를 등, 높을 고, 스스로 자, 낮을 비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유교 경전인 중용(中庸)에서 나온 말로 "군자의 도는 비유하자면 먼 곳을 감에는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출발함과 같고, 높은 곳에 오름에는 반드시 낮은 곳에서 출발함과 같다"라는 말에서 유래하였다. 152. 태산북두(泰山北斗) : 클 태, 뫼 산, 북녘 북, 말 두 태산과 북두칠성처럼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뛰어난 인물을 비유하는 말. 중국 제일의 명산인 태산과 북두칠성이란 뜻으로, 모든 사람들이 존경하는 뛰어난 인물이나 어느 분야의 대가를 뜻한다. 중국 당송팔대가중 한 사람인 한유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뛰어난 문장가이자 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