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24절기 중 스물 두번째 - 동지(冬至)

반응형

동지는 24절기 중에 스물 두번째 절기이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계적으로 구분해서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준으로 15도 간격으로 나눈다.

 

 

24절후의 스물두 번째 절기인 동지는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태양의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동지는 겨울의 한 가운데에 있는 날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작은 설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한 날로 여겨졌다.

 

 

동지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팥죽이다.

동지팥죽은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어 끓이는데,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전에는 팥죽을 만들어서 먼저 사당에 올려 고사를 지내고,

각 방과 장독, 헛간 같은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다.

사당에 놓는 것은 천신을 위한 것이고, 집안 곳곳에 놓는 것은 축귀를 위한 것으로

이로써 집안에 있는 모든 악귀를 쫓아낸다고 믿었다.

팥의 붉은 색이 양의 기운을 가진 색으로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동지의 풍속으로는 책력(달력)을 나눠주는 풍속이 있었다.

동국세시기에는 “관상감에서는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친다.

나라에서는 이 책에 동문지보라는 어새를 찍어 백관에게 나누어 준다.

관원들은 이를 친지들에게 나누어주었다.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지금도 동지 무렵인 연말연시에 새해 달력을 주고받는 것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동짓날에는 부적으로 뱀 사(蛇)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가 들어오지 못한다고 믿었다고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