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내 연금 현황 조회하기 – 통합연금포털 vs 국민연금관리공단

반응형

50대 중년 아빠인 필자와 같이

은퇴가 몇 년 정도 남은 사람들은

노후준비에 걱정과 관심이 많을 것이고

내 연금은 어느 정도 되는지도 당연히 관심이 많을 것이다.

 

반응형

연금은 운용 주체에 따라 크게 공적 연금과 사적 연금으로 나뉜다.

공적 연금은 운용 주체가 ()국가가 되는 연금으로

국민연금과 공무원 연금, 군인연금, 사립학교 교원연금 등이 있다.

필자는 공무원, 군인 등의 특수직 종사자가 아니므로

공무원 연금을 받게 된다.

공적 연금에는 소득인정액이 일정수준 이하인 가구에

지급하는 기초연금도 있다.

사적 연금에는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이 있는데,

퇴직연금은 회사에 따라 도입하는 경우도 있고

필자의 회사와 같이 아직까지 퇴직금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몇가지 종류의

개인연금과 개인형 퇴직연금(IRP)로 국민연금의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얼마전 후배와 연금에 대해서 잠깐 얘기를 나눈 적이 있는데,

정년까지 17년 정도 남은 후배는 아직까지는 연금에

그리 관심이 있어보이지는 않았다.

꼰대 마인드일수도 있고 후배에 대한 걱정일수도 있지만

지금부터 연금을 조금씩이라도 들어놓는게

나중에 훨씬 유리할거라고 얘기해줬는데,

어떻게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럼 과연 필자 자신은 연금이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상식적으로 생각해볼 때 국민연금은 국민연금 관리공단에서

조회할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입한 개인연금은

해당 금융사(보험사, 은행 등)에 하나하나 확인해야 할까?

 

이에 대해서 두가지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우선, “통합연금포털이다.

통합연금포털은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지만

검색포털에서 통합연금포털이라고 검색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통합연금포털에 처음 접속하면 먼저 회원가입을 하고 개인정보 동의를 하고

조회 신청을 해놓고 3일 후부터 조회가 가능하다.

3일 후에는 내 연금조회를 클릭하면 조회할 수 있는데

그림과 같이 국민연금, 퇴직연금(DB), 퇴직연금(DC, IRP), 개인연금 순으로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

 

 

오른쪽의 예시연금액을 누르면

연령대별로 받을수 있는 연금의 변동 현황을

비교해볼 수 있고 그래프로 시각적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럼, 국민연금 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까?

국민연금 관리공단도 비슷하게 처음 접속하면

개인인증을 해야 국민연금 가입내역을 볼 수 있다.

 
 
 

국민연금공단 첫 페이지에서 전자민원서비스를 클릭하면

개인서비스로 각종 조회 및 증명서 발급이 가능한 화면이 나온다.

이중 조회 메뉴에서 국민연금 가입내역 및 예상연금액을 조회할 수 있으며

예상연금액 조회 버튼을 누르면 국민연금만 조회할지

개인연금과 주택연금까지 모두 조회할지 선택할 수 있다.

개인연금과 주택연금은 마찬가지로 조회 신청후 3일 후부터

조회가 가능하다.

 
 
 

필자가 두 사이트 모두 조회해본 결과,

화면 구성과 방법만 다를 뿐 조회 결과는

대동소이하므로 어떤 사이트를 이용해도

관계업을 것 같다.

다만, 통합연금포털에서는 나이별 연금 수령액을

엑셀파일로 제공하니 저장해서 이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필자의 연금 준비는 어느 정도일까?

정확히 금액을 말할 수는 없지만,

이전 글에서 쓴 은퇴 중산층 수준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은퇴 중산층, 은퇴 후 적정 생활비는? https://leedj000.tistory.com/153)

 

, 조회된 모든 연금의 예시수령액 기준은

60세 혹은 연금별 만기일까지 정상적으로

불입했을 때를 전제로 하는 것이니

은퇴 중산층이 되려면 필자도 만 60세까지는

열심히 회사생활 하면서 은퇴 상류층을

바라볼 수 있을 다른 무언가를 준비해야 할 것같다.

다른 무언가는 필자의 다른 글

맥쿼리인프라 배당금 입금을 참고하면 될 듯하다.

(맥쿼리인프라 배당금 입금 https://leedj000.tistory.com/1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