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 1. 겨울

반응형

50대 중년 아빠인 필자는
학창시절 한자를 좀 많이 아는 편이었다.
공부를 잘해서라기 보다는
어떤 계기가 있었는데,
고등학교 1학년때 한자 선생님이
아주 예쁜 선생님이셨다.
그 선생님은 예쁘면서도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유도하시는 능력이 출중했던것같다.
그래서 고등학교 졸업할 즈음에는 1800자는 물론이고
웬만한 한자는 거의 읽을수 있었던 것같다.

대학을 졸업하고 1996년에 중국으로 배낭여행을 갔을때도
이 한자실력을 십분 발휘해서
중국어를 전혀 못함에도 불구하고
한자 필담으로 기차를 예매하고
여러가지 의사소통을 했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30여년이 흐른 지금은
한자를 거의 쓰지 않으니 대부분 까먹고
기본적인 한자만 읽을 수 있는 수준인것같다.

그래서, 다시 한번 한자와
그를 바탕으로 하는 고사성어, 사자성어를
일깨워보고자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를 시리즈로
써볼 생각이다.

언제까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필자가 공부하는 동시에
필자의 블로그를 봐주시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우선 계절에 맞게 겨울과 관련된 것부터 시작해보자.

1. 엄동설한(嚴冬雪寒) : 엄할 엄, 겨울 동, 눈 설, 찰 한
눈 내리는 겨울의 심한 추위
2. 낙목한천(落木寒天) : 떨어질 낙, 나무 목, 겨울 한, 하늘 천
나뭇잎이 다 덜어진 차가운 풍경 또는 계절
3. 삼한사온(三寒四溫) : 석 삼, 찰 한, 넉 사, 따뜻할 온
겨울에 삼일은 춥고 4일은 포근하다.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에 나타나는 겨울의 기온 현상
4. 설상가상(雪上加) : 눈 설, 위 상, 더할 가, 서리 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이는 격
어려운 일이 거듭해 일어나는 상황을 빗댄 말이다.
비슷한 말로 엎친데 덮친다, 화불단행(禍不單行) 등의 말이 있다.
5. 동장군(軍) : 겨울 동, 장수 장, 군대 군
겨울 장군이라는 뜻으로 매서운 추위를 빗댄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