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증

50대 중년 아빠의 궁금증, 나이별 별칭

이소88 2023. 2. 3. 07:31
반응형

50대 중년 아빠인 필자는 닉에서 알수 있듯이 50대이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서 선배들이 했던 얘기대로

시간의 흐름 즉, 나이를 먹는 속도가 비례해서 빨라진다는 것을 느낀다.

반응형

 

나이를 먹으면서 건강이나 체력이야 더 좋아지기 어렵겠지만

다른 무언가가 더 성숙해지고 무르익은 사람으로 거듭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해가 뜨면 또 하루가 시작된다

 

한자 문화권이었던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나이별로 의미를 두어 부르는 별칭(別稱)이 있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캐치프레이즈도 있지만

나이를 단순한 숫자로 치부하지 않고

그 나이에 걸맞는 역할이나 마음가짐을 나타내는

말들이므로 한번쯤은 새겨볼 만 할것같다.

 

옥으로 만든 꽃. 이 꽃은 나이를 먹지 않을것같다.

 

나이별로 그 별칭을 알아보면

 

2~3: 해제(孩提) 어린아이를 말한다.

15: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둔다.

16: 과년(瓜年) 혼기가 꽉찬 나이(여성). + = 16 의 의미의 파자이다.

흔히 이팔청춘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20: 약관(弱冠) 관례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

방년(芳年) 꽃다운 나이(여성)

30: 이립(而立) 가정과 사회에 기반을 닦는다

40: 불혹(不惑)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다

50: 지천명(知天命) 하늘의 뜻을 안다. 공자가 50세에는 하늘의 뜻(天命),

, 인생의 의미를 알았다고 한데서 유래된 말이다.

60: 이순(耳順) 귀가 순해진다. , 사려와 판단이 성숙해진다.

논어에 나오는 말이며, 공자가 60세가 되어 어떤 말도 순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는데서 유래했다.

61: 환갑(還甲) / 회갑(回甲) 갑자가 한번 돌아왔다.(60년이 지났다)

62: 진갑(進甲) 회갑 다음해 나이, 62세가 되는 해의 생일

70: 고희(古稀) 예로부터 드물다. 두보의 시에 나온 구절 중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되었다.

71: 망팔(望八) 팔십을 바라본다.

77: 희수(喜壽) 오래 살아 기쁘다. ()의 약자가 한자 칠()로 이루어져

77세를 뜻함

80: 산수(傘壽) 산의 한자인 을 파자로 풀면 ()()”이 된다.

88: 미수(米壽) 여든여덟 살의 생일. 한자 미() 자를 八十八의 파자로

풀어서 나타낸 말이다.

99: 백수(白壽) 일백 백 (100)에서 하나()를 빼면 99, 자가 된다.

100: 상수(上壽) 최상의 수명을 의미한다.

 

올해(2023) 6월부터 모든 나이를 만 나이로 표시한다고 한다.

하지만, 위에 써놓은 나이는 한국식 나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니

참고해서 보시기 바란다.

 

 

약관, 불혹, 환갑 등 지금도 많이 쓰는 말도 있고 그렇지 않은 말도 있지만

인생의 행로에서 나이별로 의미를 가지고

언제나 열심히 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될 것같다.

 

반응형